우리나라도 이제 디젤차를 탈 수 있는 날이 얼마 남지 않은 거 같습니다.
최근에 서울시 발표로 이슈가 되었고 지금도 이슈가 되고 있는 4등급 디젤차 내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더 맑은 서울 2030 (4등급 디젤차)
디젤차뿐만이 아니라 난방시설, 공사장, 소규모 사업장에서 대기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생활 주변시설 관리를 강화하는데 집중하고 있고 미세먼지, 발암물질 등 대기질의 여러 가지 공해를 유발하는 디젤차 퇴출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최종 목표는 대기오염 물질 배출량을 2030년까지 절반으로 줄이는 것이 서울시의 첫 번째 목표입니다.
대기오염물질을 줄이기 위해 서울시 사대문 운행제한은 현재 5등급 디젤 차이지만 2025년부터 4등급 디젤차로 확대할 예정입니다. 1 ~ 3 등급 디젤 차량만 운행이 가능하다는 이야기입니다.
그리고 배달용 오토바이를 전기이륜차로 변경하고 2026년까지 경유마을버스, 택배 화물차 또한 전기차로 변경할 예정입니다.
저공해차로 변경을 위해 배달 플랫폼과 협업을 통해 전기이륜차를 이용하는 라이더에게 저렴한 보험상품을 제공하고 서울시 전역에 공중전화부스를 활용한 배터리 교환형 충전소 3천 개를 설치한다는 발표도 했습니다.
그리고 택배사와 협업해 택배용 전기화물차를 우선 지원하고 물류센터에 최적화된 충전기 도입도 추진한다고 했습니다. 마을버스는 폐차 시기에 맞춰서 대당 1억 원의 교체 비용을 지원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서울시는 총 2030년까지 총 3조 8천억 원을 투자해서 5개 분야에서 50개의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5등급 디젤차 운행제한을 2025년 서울 전 지역으로 확대하며 4등급 디젤차까지 운행제한을 확대하게 되면 2025년부터는 4등급 디젤차는 사대문 내에서 교통운행이 제한되고 2030년 이후에는 서울 전 지역으로 운행제한 범위를 더 늘릴 예정이라고 합니다.
4등급 디젤차의 기준
4등급 디젤차는 2006년 배출가스 기준(유로 4)이 적용된 차량을 의미하며 3등급 디젤차보다 미세먼지 발생량이 6배나 높다고 합니다. 서울시에서 말하기로는 저공해 조치가 되지 않는 4등급 디젤차량이 무려 8만 대 가까이 된다고 합니다.
디젤차(내연기관)는 앞으로 어떻게 될까?
운행 제한에 앞서서 내년 하반기부터 비상 저감조치 발령 시 4등급 디젤 차량의 운행제한을 시범적으로 운영할 계획이 라고 합니다. 매년 4등급 디젤차의 조기폐차 비용에 대해서 1대당 400만 원을 지원하는 사업도 추진 중에 있다고 합니다. 또 한 2035년 모든 내연기관 차량의 녹색교통 지역 운행을 제한하며 신규 차량등록을 금지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2050년에는 서울 전 지역에서 모든 내연기관차량 운행을 제한한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도 다른 나라와 마찬가지로 디젤차의 단종이 얼마 안 남은 거 같습니다.
내 차 등급 조회방법
디젤차를 보유하신 분들은 등급 조회를 한번 해보셔야 할 거 같은데요.
아래 링크 자동차 배출가스 누리집에 접속해서 등급 조회를 누르시고 차량번호와 휴대폰 인증을 통해서 보유하신 디젤 차량의 자동차 배출가스 등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차 배출가스 누리집(대국민)
개인정보 수집 이용동의서(조기폐차 신청 시)-개정 (한국자동차환경협회) 2019-05-31
www.mecar.or.kr
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해 어쩔 수 없는 선택인 건 맞지만 생계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 분들도 계실 거 같은데 서울시에서 그런 부분까지 신경을 써서 피해 보시는 분들이 없게 잘 진행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시고 제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LTV? DTI? DSR? 부동산 대출 용어 정리 (0) | 2022.12.21 |
---|---|
겨울축제 눈꽃, 얼음낚시, 겨울먹거리, 불빛 축제 일정 총정리 (0) | 2022.12.17 |
12월 지역별 재난지원금 신청방법, 총정리 (0) | 2022.12.16 |
'13월의 월급' 2022 연말정산 달라지는 혜택, 절세 방법 (0) | 2022.12.15 |
댓글